fffo

배달 본문

Programming/Algorithm

배달

gggs 2021. 10. 8. 22:50

문제

문제 설명
N개의 마을로 이루어진 나라가 있습니다. 이 나라의 각 마을에는 1부터 N까지의 번호가 각각 하나씩 부여되어 있습니다. 각 마을은 양방향으로 통행할 수 있는 도로로 연결되어 있는데, 서로 다른 마을 간에 이동할 때는 이 도로를 지나야 합니다. 도로를 지날 때 걸리는 시간은 도로별로 다릅니다. 현재 1번 마을에 있는 음식점에서 각 마을로 음식 배달을 하려고 합니다. 각 마을로부터 음식 주문을 받으려고 하는데, N개의 마을 중에서 K 시간 이하로 배달이 가능한 마을에서만 주문을 받으려고 합니다. 다음은 N = 5, K = 3인 경우의 예시입니다.
 
위 그림에서 1번 마을에 있는 음식점은 [1, 2, 4, 5] 번 마을까지는 3 이하의 시간에 배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3번 마을까지는 3시간 이내로 배달할 수 있는 경로가 없으므로 3번 마을에서는 주문을 받지 않습니다. 따라서 1번 마을에 있는 음식점이 배달 주문을 받을 수 있는 마을은 4개가 됩니다.
마을의 개수 N, 각 마을을 연결하는 도로의 정보 road, 음식 배달이 가능한 시간 K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음식 주문을 받을 수 있는 마을의 개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마을의 개수 N은 1 이상 50 이하의 자연수입니다.
• road의 길이(도로 정보의 개수)는 1 이상 2,000 이하입니다.
• road의 각 원소는 마을을 연결하고 있는 각 도로의 정보를 나타냅니다.
• road는 길이가 3인 배열이며, 순서대로 (a, b, c)를 나타냅니다.
o a, b(1 ≤ a, b ≤ N, a != b)는 도로가 연결하는 두 마을의 번호이며, c(1 ≤ c ≤ 10,000, c는 자연수)는 도로를 지나는데 걸리는 시간입니다.
o 두 마을 a, b를 연결하는 도로는 여러 개가 있을 수 있습니다.
o 한 도로의 정보가 여러 번 중복해서 주어지지 않습니다.
• K는 음식 배달이 가능한 시간을 나타내며, 1 이상 500,000 이하입니다.
• 임의의 두 마을간에 항상 이동 가능한 경로가 존재합니다.
• 1번 마을에 있는 음식점이 K 이하의 시간에 배달이 가능한 마을의 개수를 return 하면 됩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입출력

N road K result
5 [[1,2,1],[2,3,3],[5,2,2],[1,4,2],[5,3,1],[5,4,2]] 3 4
6 [[1,2,1],[1,3,2],[2,3,2],[3,4,3],[3,5,2],[3,5,3],[5,6,1]] 4 4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문제의 예시와 같습니다.
입출력 예 #2
주어진 마을과 도로의 모양은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1번 마을에서 배달에 4시간 이하가 걸리는 마을은 [1, 2, 3, 5] 4개이므로 4를 return 합니다.

접근 및 풀이

DFS로 접근해서 많이 헤맸다. BFS로 접근하니 쉽게 풀렸다. 그래프 문제인데 같은 노드간의 간선이 두 개인 조건이 껴있어서 테스트 케이스를 돌리지 않았다면 몰랐을 오류가 있었다. 문제를 꼼꼼하게 읽어야겠다.

코드

function solution(N, road, K) {
  const graph = Array.from(Array(N + 1), () => ({}));
  road.map((r) => {
    const [from, to, cost] = [r[0], r[1], r[2]];
    graph[from][to] = graph[from][to] ? Math.min(cost, graph[from][to]) : cost;
    graph[to][from] = graph[from][to];
  });
  const shortest = Array(N + 1).fill(K + 1);
  shortest[1] = 0;
  const queue = [1];
  while (queue.length !== 0) {
    let current = queue.shift();
    for (let [town, cost] of Object.entries(graph[current])) {
      const curCost = shortest[current] + cost;
      if (curCost > K || curCost > shortest[town]) continue;
      shortest[town] = curCost;
      queue.push(town);
    }
  }
  return shortest.reduce((acc, cur) => { if (cur <= K) acc += 1; return acc},0);
}

출처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2978

'Programming > Algorithm'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점프와 순간이동  (0) 2021.10.10
프렌즈4블록  (0) 2021.10.09
괄호 회전하기  (0) 2021.10.08
열매 수확  (0) 2021.10.07
후보키  (0) 2021.10.07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