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ffo
순위 검색 본문
문제
문제 설명
[본 문제는 정확성과 효율성 테스트 각각 점수가 있는 문제입니다.]
카카오는 하반기 경력 개발자 공개채용을 진행 중에 있으며 현재 지원서 접수와 코딩테스트가 종료되었습니다. 이번 채용에서 지원자는 지원서 작성 시 아래와 같이 4가지 항목을 반드시 선택하도록 하였습니다.
- 코딩테스트 참여 개발언어 항목에 cpp, java, python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합니다.
- 지원 직군 항목에 backend와 frontend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합니다.
- 지원 경력구분 항목에 junior와 senior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합니다.
- 선호하는 소울푸드로 chicken과 pizza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합니다.
인재영입팀에 근무하고 있는 니니즈는 코딩테스트 결과를 분석하여 채용에 참여한 개발팀들에 제공하기 위해 지원자들의 지원 조건을 선택하면 해당 조건에 맞는 지원자가 몇 명인 지 쉽게 알 수 있는 도구를 만들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개발팀에서 궁금해하는 문의사항은 다음과 같은 형태가 될 수 있습니다.
코딩테스트에 java로 참여했으며, backend 직군을 선택했고, junior 경력이면서, 소울푸드로 pizza를 선택한 사람 중 코딩테스트 점수를 50점 이상 받은 지원자는 몇 명인가?
물론 이 외에도 각 개발팀의 상황에 따라 아래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문의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코딩테스트에 python으로 참여했으며, frontend 직군을 선택했고, senior 경력이면서, 소울푸드로 chicken을 선택한 사람 중 코딩테스트 점수를 100점 이상 받은 사람은 모두 몇 명인가?
- 코딩테스트에 cpp로 참여했으며, senior 경력이면서, 소울푸드로 pizza를 선택한 사람 중 코딩테스트 점수를 100점 이상 받은 사람은 모두 몇 명인가?
- backend 직군을 선택했고, senior 경력이면서 코딩테스트 점수를 200점 이상 받은 사람은 모두 몇 명인가?
- 소울푸드로 chicken을 선택한 사람 중 코딩테스트 점수를 250점 이상 받은 사람은 모두 몇 명인가?
- 코딩테스트 점수를 150점 이상 받은 사람은 모두 몇 명인가?
즉, 개발팀에서 궁금해하는 내용은 다음과 같은 형태를 갖습니다.
* [조건]을 만족하는 사람 중 코딩테스트 점수를 X점 이상 받은 사람은 모두 몇 명인가?
[문제]
지원자가 지원서에 입력한 4가지의 정보와 획득한 코딩테스트 점수를 하나의 문자열로 구성한 값의 배열 info, 개발팀이 궁금해하는 문의조건이 문자열 형태로 담긴 배열 query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각 문의조건에 해당하는 사람들의 숫자를 순서대로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제한사항]
- info 배열의 크기는 1 이상 50,000 이하입니다.
- info 배열 각 원소의 값은 지원자가 지원서에 입력한 4가지 값과 코딩테스트 점수를 합친 "개발언어 직군 경력 소울푸드 점수" 형식입니다.
- query 배열의 크기는 1 이상 100,000 이하입니다.
- query의 각 문자열은 "[조건] X" 형식입니다.
[입출력 예]
info | query | result |
["java backend junior pizza 150","python frontend senior chicken 210","python frontend senior chicken 150","cpp backend senior pizza 260","java backend junior chicken 80","python backend senior chicken 50"] | ["java and backend and junior and pizza 100","python and frontend and senior and chicken 200","cpp and - and senior and pizza 250","- and backend and senior and - 150","- and - and - and chicken 100","- and - and - and - 150"] | [1,1,1,1,2,4] |
입출력 예에 대한 설명
지원자 정보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언어 | 직군 | 경력 | 소울 푸드 | 점수 |
java | backend | junior | pizza | 150 |
python | frontend | senior | chicken | 210 |
python | frontend | senior | chicken | 150 |
cpp | backend | senior | pizza | 260 |
java | backend | junior | chicken | 80 |
python | backend | senior | chicken | 50 |
- "java and backend and junior and pizza 100" : java로 코딩테스트를 봤으며, backend 직군을 선택했고 junior 경력이면서 소울푸드로 pizza를 선택한 지원자 중 코딩테스트 점수를 100점 이상 받은 지원자는 1명 입니다.
- "python and frontend and senior and chicken 200" : python으로 코딩테스트를 봤으며, frontend 직군을 선택했고, senior 경력이면서 소울 푸드로 chicken을 선택한 지원자 중 코딩테스트 점수를 200점 이상 받은 지원자는 1명 입니다.
- "cpp and - and senior and pizza 250" : cpp로 코딩테스트를 봤으며, senior 경력이면서 소울푸드로 pizza를 선택한 지원자 중 코딩테스트 점수를 250점 이상 받은 지원자는 1명 입니다.
- "- and backend and senior and - 150" : backend 직군을 선택했고, senior 경력인 지원자 중 코딩테스트 점수를 150점 이상 받은 지원자는 1명 입니다.
- "- and - and - and chicken 100" : 소울푸드로 chicken을 선택한 지원자 중 코딩테스트 점수를 100점 이상을 받은 지원자는 2명 입니다.
- "- and - and - and - 150" : 코딩테스트 점수를 150점 이상 받은 지원자는 4명 입니다.
접근 및 풀이
모든 지원자에 대해 모든 조건을 다 대조하는 코드를 구현하니 효율성 검사에서 막혔다. 더 나은 방법을 찾지 못해 풀이를 보니 지원자 정보를 읽어들일 때 미리 분류를 해서 조건에 해당하는 지원자가 해당 분류에 속하는지 여부만 알면 연산을 훨씬 줄일 수 있었다. 그러나 마지막 지원자 정보인 점수는 분류를 하기엔 너무 많은 수이므로 배열형식으로 구현했는데, 여기서 미리 정렬을 해두고 lowerbound를 이용해 빠르게 탐색을 해야만 효율성 검사에 통과 할 수 있었다.
코드
function solution(info, query) {
const applicant = new Map();
const result = [];
info.forEach(e => {
let temp = e.split(" ");
if (applicant[temp.slice(0,4)]) {
applicant[temp.slice(0,4)].push(Number(temp[4]));
} else {
applicant[temp.slice(0,4)] = [Number(temp[4])];
}
});
for (let i in applicant) {
applicant[i].sort((a,b)=>a-b);
}
query.forEach(e => {
const queryArr = e.replace(/and /g, '').split(' ');
let count = 0;
outer: for (let key in applicant) {
for (let i = 0; i < queryArr.length-1; i++){
if(queryArr[i] != '-' && !key.includes(queryArr[i])) {
continue outer;
}
}
const found = lowerBound(applicant[key], queryArr[4])
if (found === -1) continue;
count += applicant[key].length - found;
}
result.push(count);
})
return result;
}
function lowerBound(arr, target) {
let i = 0;
let j = arr.length;
while (i < j) {
let k = Math.floor((i + j) / 2);
if (arr[k] < target) i = k + 1;
else j = k;
}
return i;
}
출처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72412?language=javascript
'Programming > Algorithm' 카테고리의 다른 글
2개 이하로 다른 비트 (0) | 2021.09.29 |
---|---|
문자열 - 영어 끝말잇기 (0) | 2021.09.28 |
연습문제 - 최솟값 만들기 (0) | 2021.09.27 |
입실 퇴실 (0) | 2021.09.26 |
연습문제 - 숫자의 표현 (0) | 2021.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