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ffo
입실 퇴실 본문
문제
문제 설명
사회적 거리두기를 위해 회의실에 출입할 때 명부에 이름을 적어야 합니다. 입실과 퇴실이 동시에 이뤄지는 경우는 없으며, 입실 시각과 퇴실 시각은 따로 기록하지 않습니다.
오늘 회의실에는 총 n명이 입실 후 퇴실했습니다. 편의상 사람들은 1부터 n까지 번호가 하나씩 붙어있으며, 두 번 이상 회의실에 들어온 사람은 없습니다. 이때, 각 사람별로 반드시 만난 사람은 몇 명인지 구하려 합니다.
예를 들어 입실 명부에 기재된 순서가 [1, 3, 2], 퇴실 명부에 기재된 순서가 [1, 2, 3]인 경우,
- 1번과 2번은 만났는지 알 수 없습니다.
- 1번과 3번은 만났는지 알 수 없습니다.
- 2번과 3번은 반드시 만났습니다.
또 다른 예로 입실 순서가 [1, 4, 2, 3], 퇴실 순서가 [2, 1, 3, 4]인 경우,
- 1번과 2번은 반드시 만났습니다.
- 1번과 3번은 만났는지 알 수 없습니다.
- 1번과 4번은 반드시 만났습니다.
- 2번과 3번은 만났는지 알 수 없습니다.
- 2번과 4번은 반드시 만났습니다.
- 3번과 4번은 반드시 만났습니다.
회의실에 입실한 순서가 담긴 정수 배열 enter, 퇴실한 순서가 담긴 정수 배열 leave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각 사람별로 반드시 만난 사람은 몇 명인지 번호 순서대로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1 ≤ enter의 길이 ≤ 1,000
- 1 ≤ enter의 원소 ≤ enter의 길이
- leave의 길이 = enter의 길이
- 1 ≤ leave의 원소 ≤ leave의 길이
입출력 예
enter | leave | result |
[1,3,2] | [1,2,3] | [0,1,1] |
[1,4,2,3] | [2,1,3,4] | [2,2,1,3] |
[3,2,1] | [2,1,3] | [1,1,2] |
[3,2,1] | [1,3,2] | [2,2,2] |
[1,4,2,3] | [2,1,4,3] | [2,2,0,2] |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만약, 다음과 같이 회의실에 입실, 퇴실했다면
회의실 | 설명 |
[1] | 1번 입실 |
[1, 3] | 3번 입실 |
[3] | 1번 퇴실 |
[2, 3] | 2번 입실 |
[3] | 2번 퇴실 |
[] | 3번 퇴실 |
- 1번과 2번은 만나지 않습니다.
- 1번과 3번은 만납니다
- 2번과 3번은 만납니다.
만약, 다음과 같이 회의실에 입실, 퇴실했다면
회의실 | 설명 |
[1] | 1번 입실 |
[] | 1번 퇴실 |
[3] | 3번 입실 |
[2, 3] | 2번 입실 |
[3] | 2번 퇴실 |
[] | 3번 퇴실 |
- 1번과 2번은 만나지 않습니다.
- 1번과 3번은 만나지 않습니다.
- 2번과 3번은 만납니다.
위 방법 외에 다른 순서로 입실, 퇴실 할 경우 1번과 2번이 만나도록 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2번과 3번이 만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은 없습니다.
따라서
- 1번과 2번은 만났는지 알 수 없습니다.
- 1번과 3번은 만났는지 알 수 없습니다.
- 2번과 3번은 반드시 만났습니다.
입출력 예 #2
문제의 예시와 같습니다.
입출력 예 #3
- 1번과 2번은 만났는지 알 수 없습니다.
- 1번과 3번은 반드시 만났습니다.
- 2번과 3번은 반드시 만났습니다.
입출력 예 #4
- 1번과 2번은 반드시 만났습니다.
- 1번과 3번은 반드시 만났습니다.
- 2번과 3번은 반드시 만났습니다.
입출력 예 #5
- 1번과 2번은 반드시 만났습니다.
- 1번과 3번은 만났는지 알 수 없습니다.
- 1번과 4번은 반드시 만났습니다.
- 2번과 3번은 만났는지 알 수 없습니다.
- 2번과 4번은 반드시 만났습니다.
- 3번과 4번은 만났는지 알 수 없습니다.
접근 및 풀이
입실과 퇴실에
다른 사람 풀이
입퇴실하는 것이 뭔가 큐와 비슷한것 같아서 큐로 접근했지만 굳이 큐를 쓸 필요가 없는 문제였다. 만남카운트 조건이 언제 생기는지를 알아내는 것이 키포인트였다. 테스트케이스를 따라가 보면서 조건을 찾아 문제를 해결했다.
기타
tempEnter를 room으로 바꾸고 index들은 굳이 이름을 길게 하지 말고 i와 j로 했으면 더욱 직관적일 것 같다.
코드
function solution(enter, leave) {
let result = [];
let enterIndex = 0;
let leaveIndex = 0;
let tempEnter = [];
function putResult(index, element) {
if (result[index] === undefined) {
result[index] = element;
} else {
result[index] += element;
}
}
while(leaveIndex < leave.length) {
if (tempEnter.includes(leave[leaveIndex])) {
putResult(leave[leaveIndex], tempEnter.length - 1);
tempEnter.splice(tempEnter.indexOf(leave[leaveIndex]),1);
tempEnter.forEach(e=>{
putResult(e, 1);
})
leaveIndex++;
} else {
tempEnter.push(enter[enterIndex++]);
}
}
result.shift();
return result;
}
출처
'Programming > Algorithm'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순위 검색 (0) | 2021.09.27 |
---|---|
연습문제 - 최솟값 만들기 (0) | 2021.09.27 |
연습문제 - 숫자의 표현 (0) | 2021.09.26 |
bfs - 게임 맵 최단경로 (0) | 2021.09.25 |
그래프 (0) | 2021.09.25 |